문서 자료

팽이기초 적용 시 허용 지지력

지반보강 2023. 1. 27. 10:45

 

팽이기초 적용 시 허용 지지력

 

  팽이기초 적용시 허용 지지력은 연약지반과 같은 느슨한 지반의 경우에 대해서도 아래의 식과 같이 전반전단파괴의 지지력식으로 계산하게 되는데, 이 공식은 소성이론에 근거한 Terzaghi(1943)의 지지력 식을 응용(수정)하여 유도되었으며, 팽이기초의 지지력 향상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응력분산효과와 응력분포효과에 의한 지지력 향상 요인을 각각 계수   K1, K2 값으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  나타내었다.(일본토목연구센타, 1998)

 

 

          qka = (1 / F)K1K2 {α∙CNc + (β∙r1BkNr)/2 + P0 Nq}

 

 위에서,    F : 안전율 (상시=3, 지진시=2)

K1 : 팽이기초의 응력분산효과를 나타내는 계수

      연속기초 K1 = (Bk+2Htanω) / B

     장방형기초 K1 = (Bk+2Htanω) × (Lk+2Htanω) / (Bk×Lk)

K2 : 강성기초의 접지압 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부분만 허용지지력을

       증가시키는 계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α, β : 기초의 형상계수        c : 기초지반의 점착력 (kPa)

B, L : 구조물기초의 단변과 장변(m)

Bk, Lk : 팽이기초의 단변과 장변(m)

r1 : 기초면 하부의 단위체적중량 (kN/)

r2 : 기초면 상부의 단위체적중량 (kN/)

Po : r2Df :기초의 근입하중 (kPa) Df : 기초의 근입깊이 (m)

Nc, Nr, Nq : 팽이기초의 지지력계수 (전반전단파괴형식)

      

 

 

             따라서, 팽이기초 적용시 지반의 허용 지지력은  K1,  K2,  전반전단파괴 지지력 계수로 인하여 원지반 허용 지지력  (국부전단파괴)보다 2 ~ 3배 이상 크게 산정(증대)되며 지반의 상태(종류, N치, 지하수위), 기초의 형식 및 규격,  팽이기초 설치조건에 영향을 받는다.

 

         ▶ 설계, 시공, 견적 문의  시지이엔씨 박 종민 상무 010-2059-5942